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인벤

영웅 공략: 캘타스

안녕하세요. 그레이브즈입니다. 제 캘타스 현재 성적은 119승 104패 영웅 승률이 53% 조금 넘는 수준입니다. 상대에게서 뺏어오는 목적으로 캘타스를 픽해오면서 1등급을 찍었기 때문에 캘타스 장인들의 공략에 비해 부족한 점들이 있을 수도 있다는 점 미리 말씀드립니다.영웅리그를 단순히 즐기실 분들이면 캘타스를 굳이 안하셔도 상관은 없습니다만 혹시 등급을 올리실 생각이시면 밴 시스템이 현재 없는 이상 익혀두시고 상위픽이실 경우에 왠만하면 뺏어오
이 공략을 평가해 주세요
인벤 여러분이 평가한 이 공략의 평가는?
짜임새 있는 구성이네요, 강추!투표
그리 좋은 구성이 아니네요. 비추!투표
추천 : 13 / 비추천 : 4
이 공략을 평가해주세요.
제목
(1등급) 캘타스 기본 공략
작성자 | 내일이오늘  작성일 | 2015-07-15 09:01:52  조회수 | 17445  최종수정 | 2015-07-18 11:19:42
캘타스
태양왕
영웅 세부 정보 바로가기
주요능력 원거리, 기절
[-]
1레벨
[+]
생명력 생명력
재생
마나 마나
재생
공격력 공격
거리
공격
속도
이동
속도
15203.1685003655.51.11 4.8398
    • 1
    • 2
    • 3
    • 4
    • 1
    • 2
    • 3
    • 4
    • 1
    • 2
    • 3
    • 4
    • 1
    • 2
    • 1
    • 2
    • 3
    • 4
    • 1
    • 2
    • 3
    • 4
    • 1
    • 2
    • 3
    • 4

머리말

 
안녕하세요. 그레이브즈입니다.

제 캘타스 현재 성적은 119승 104패 영웅 승률이 53% 조금 넘는 수준입니다. 상대에게서 뺏어오는 목적으로 캘타스를 픽해오면서 1등급을 찍었기 때문에 캘타스 장인들의 공략에 비해 부족한 점들이 있을 수도 있다는 점 미리 말씀드립니다.

영웅리그를 단순히 즐기실 분들이면 캘타스를 굳이 안하셔도 상관은 없습니다만 혹시 등급을 올리실 생각이시면 밴 시스템이 현재 없는 이상 익혀두시고 상위픽이실 경우에 왠만하면 뺏어오시길 바랍니다.

캘타스를 내가 가져와서 나중에 꼭 커서 캐리를 한다는 부담스러운 개념이 아니라 상대편이 캘타스를 가져가서 저희 편이 역전 당하는 것을 막는 의미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특히 아군이 1전사 3암살자 1지원가 조합일 경우 초반, 중반 잘해놓고 후반에 상대편 캘타스에게 불기둥 1~2방에 역전 당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기 때문입니다.
 

 

영리 솔큐 팁


영리 솔큐시 등급 올리는데 도움이 되었던 영웅 목록


전사 178  - 아눕아락, 무라딘, 티리엘, 요한나

암살자 604  - 제이나, 캘타스, 레이너, 발라

지원가 185  - 우서, 레가르, 말퓨리온

전문가 57  - 실바나스


전사나 암살자 영웅같은 경우 각각 3개 이상, 지원가는 2개 이상

모두 합해서 영웅 8개 정도는 숙달되고 영리를 시작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지금까지 제가 영리 솔큐 돌리면서 자주 접한 조합들입니다만


1전사 3암살자 1지원가 - 우리팀이나 상대팀이나 자주 보는 조합

1전사 2암살자 1전문가 1지원가 - 역시 자주 보는 조합

2전사 2암살자 1지원가 - 대회 덕분인지 자주 보이는 조합


전사와 암살자 하시는 분들 많습니다. 우리팀이나 상대팀이나 가릴 것 없이 말이죠. 그래서 영웅 폭이 어느 정도는 되야 스트레스 안 받으시고 영리를 돌리실 수 있으실 겁니다.


픽창에서의 팁


1픽인 경우 캘타스 / 상대가 가져갔다면 제이나 , 노바, 제라툴로 캘타스를 막아봅니다.

2픽인 경우 아군 1픽이 캘타스를 가져갔다면 우서를 가지고 오시기 바랍니다. 

3픽인 경우 아군 1~2픽이 캘타스 우서라면 전사 영웅이나 원거리 평타 암살자를 픽합니다.

4픽의 경우 위에서 캘타스, 우서, 전사를 픽했다면 전사, 전문가, 원거리 암살자를 상대픽을 보고 결정합시다.

5픽의 경우 위에서 캘타스, 우서, 전사, 전사라면 암살자를 추천드립니다.


그런데 위처럼 마음대로 안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요점은 캘타스 우서를 둘다 뺏기는 것만큼은 피해야합니다. 


상대가 최근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도살자를 가져간 경우 우리팀에서 요한나나 무라딘을 안 하면 게임이 많이 힘들어지니 본인이 하시던가 전사를 하려고 하는 팀원에게 요한나나 무라딘을 권유하시던가 하시는게 좋을 겁니다.






1. 우리 팀원들의 픽을 보고 최선의 픽을 해보자. 게임을 힘들게 만드는 1픽 조합 브레이커 영웅 목록

아군 1픽이 누더기  케리건  가즈로  길잃은바이킹  머키  해머 상사  아바투르  스랄   일리단 기타 등등을 하는 경우가 일상다반사로 일어나는 일이죠? 


물론 잘하면 상관없지만 그때마다 아군의 픽이 매우 꼬이는 것을 다들 느끼실 겁니다. 저 위의 영웅들을 보시면 하나같이 저 영웅에 적합한 조합을 짜야 힘을 내는 그런 영웅들입니다. 즉 1픽으로 막 고르면 나머지 4명이 1픽의 영웅에 맞춰서 조합을 짜주고 어느 정도 받혀줘야 하는데 솔큐에서 그럴 일은 별로 없다는 것이죠. 이럴때 어떻게 하냐구요? 그래도 캘타스 하세요. 별 수 없습니다. 아군 누군가가 캘타스를 하면 전사나 지원가를 하시면 되구요. 별 수 없습니다. 최대한 4 암살자라던가 3지원가 등의 막장 중의 막장만 일단 막는 선에서 픽을 마무리 하시기 바랍니다. 아 그리고 1픽으로  노바  제라툴은 좋지요. 잘하면...



2. 캘타스를 상대가 가져간 경우 제이나를 픽합니다. 이유는 서로 비슷한 역할을 가지고 있고 초반, 중반엔 제이나가 데미지와 슬로우 등의 유리한 점이 많습니다. 16레벨 이후에도 제이나가 1:1에서 캘타스에게 지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다만 한타 광역 데미지 차이가 너무 나기 시작해서 문제일 뿐입니다. 
16레벨 전엔 맞라인으로 가서 끊임없이 캘타스를 괴롭혀 주시기 바랍니다. 16레벨 이후엔 물정령으로 캘타스 찍어놓고 제이나는 상대 탱커 라인과 딜러 라인 진형을 무너뜨리는 용도로 눈보라를 쓰는 방법으로 플레이 하시기 바랍니다. 아니면  노바  제라툴을 하셔서 켈타스를 어떻게든 암살을 하시겠다. 하셔도 무방합니다.




3. 아눕아락 은 선픽보다 상대픽을 보고 갑니다. 이유는 착취의 무리 (R) 없을때 많이 무력합니다. 궁이 없는 경우 잘 물어도 문제가 아눕아락 자체가 잘 녹습니다. 상대가 뚜벅이 영웅들로 구성되었을 경우와 아군에 전사가 1명 더 있는 경우 하시기 바라며 1전사를 하게 될 경우에는 무라딘 또는 요한나를 추천 드립니다. 이유는 요즘 자주 나오는 도살자를 막을 만한 전사가 저 2개 외에는 딱히 없어보입니다.



4. 4~5픽이 되었을 경우 보통 위에서 다들 암살자들이나 전사들을 가져갑니다. 그럼 주저없이 우서를 하시기 바랍니다.다. 요즘 우서 사람들이 많이 해서 상대 1~3픽에서 자주 하는 경우가 잦아졌습니다만 잡을 기회가 꽤 많아서 자주 잡게 되었구요. 덕분에 제이나가 모스트 2였는데 현재는 제이나를 밀어내고 우서가 올라가 있습니다.

영웅 상성

아군 상성 좋은 영웅

우서: 캘타스와의 상성이 아니라 우서 자체가 어디에나 잘 어울립니다. 초반에 마나 부족한 것 외엔 무조건 살리는 천상의 보호막 (R), 순간적으로 폭풍힐링을 가능하게 하는 성스러운 빛 (Q)  신성한 광휘 (W) 에다가 쓰기에 따라서 잠시라도 시간을 끌어 아군을 살릴수도 반대로 상대 주요 딜러를 끊을수도 있는 CC기인  심판의 망치 (E) 까지 버릴게 없는 스킬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레이너: 캘타스에 묻혀서 그런데 16레벨 이후 명중 (Q) 이 생기면서 강력하게 변하는 영웅 중의 하나가 레이너입니다. 캘타스, 레이너 있는 쪽이 무난하게 후반을 갔다면 왠만해서는 이기기 어렵습니다. 캘타스 잡을만하면 천상의 보호막 (R) 때문에 우서도 짜증나는데 레이너까지 근처에서 명중 (Q) 으로 밀쳐내고 기절시키고 데미지까지 강력하기 때문입니다.




요한나: 요한나도 우서처럼 거의 어느 조합에서나 활약하며 좋은 영웅입니다. 그리고  눈부신 방패 (E) 는 요즘 사기라고 말 많은  도살자 를 커버하기 좋습니다.




레가르: 우서를 뺏긴 경우 레가르나 말퓨리온을 주로 합니다. 죽을만하면 아군을 살리는  선조의 치유 (R) 로 우서 다음으로 거의 아군 1명을 확정적으로 살려냅니다. 하지만 캘타스 및 암살자들 특징이 물몸이라 풀피에서도 눈치껏 죽을 것 같으면 미리 넣어주세요. 풀피에서 넣어줘도 죽는 경우가 허다한 점 때문에 피곤해서 저 같은 경우 상대가 우서를 가져가지 않으면 우서를 가져옵니다.




제이나 : 제이나가 있다면   극심한 한기 (고유 능력)  눈폭풍 (W)  동창 (고유 능력)  물의 정령 소환 (R) 등의 스킬들로 캘타스의 초반, 중반 후달리는 데미지를 상쇄해주는 캘타스와 함께 투탑 메이지 원거리 암살자입니다.





아군 상성 나쁜 영웅

가즈로  머키   해머 상사 아즈모단  아바투르

일단 전문가들 중에서도 가즈로, 머키, 아즈모단, 해머상사, 아바투르 기타 전문가 영웅들을 하시는 분들 대부분이 혼자 놀기 좋아합니다. 그리고 "운영을 해야지 거길 왜 가나요? 한타 왜 하나요? 맵 안 보나요? 우리편 너무 짤리네요 .내가 이렇게 공성을 했는데도 이걸 지네" 등등의 말을 하면서 팀을 탓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캘타스로 이런 영웅들과 함께하게 될 경우 가장 큰 문제가 일단 초반에 캘타스 딜도 부족한데 위에 말한 것처럼 거점 점령이나 공물 한타 등 피할 수 없는 교전에서 한 명이 없는 채로 싸우게 되는게 기정사실이란 거죠.

운영을 한다는 말이 한타를 안한다는 말로 통하기 시작한 것이 언제부터인지 모르겠지만 운영이라는 말 안에 한타, 캠핑, 공성테러, 라인관리 등이 다 포함되는 것인데 따로 따로 때어놓고 생각을 하더군요.




전문가들 중에서도 캘타스와 궁합이 크게 나쁘지 않은 것들을 보자면 먼저 대회에도 몇 번 나왔던 
길잃은바이킹은 잘 죽지 않고 라인 경험치를 챙겨주기만 한다면 소규모 한타에서 몇 번 져도 게 레벨 차이가 크게 벌어지지 않게 억제하는데 도움되는 영웅입니다. 게다가  바이킹의 습격! (R) 을 잘 쓰기만 하면 엄청난 캐리력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실바나스는 초반부터  어둠의 비수 (W), 7레벨엔  불안정한 독 (고유 능력) 등의 스킬과 특성

들을 가지고 있어서 라인클리어가 좋고 4레벨에  독살 찍는 시점에서부터 매우 강력한 모습을 보입니다. 



자가라는 점막 종양 (고유 능력) 덕분에 조금만 자가라를 좀 하신 분들은 잘 안 죽으시고 2:1라인전에서도 잘 버티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실바나스처럼 4레벨에 독살은 아니지만  맹독 가시뼈 특성을 익히면  추적 도살자 (W) 와 함께 초반에는 상상하기 힘든 데미지를 내며 강력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마지막으로  게걸 아귀 (R) 는 캘타스가 데미지 넣기 편한 구도를 만들어 주기 때문에 궁합이 좋습니다. 



나지보는 전문가로 분류되었지만   좀비 벽 (W)  덩치 (R) 들을 보면 공성이나 한타 어느 한 쪽으로 크게 치우치지 않고 거의 마법사에 가까운 영웅이라고 생각합니다.(스킬 시전 사거리들이 근거리인 것이 아쉬운 점) 생존력 또한 제이나처럼  전력 질주나  얼음 방패 등을 찍을 수 있어서 잘 죽지 않는 영웅입니다. 그러면 아군 지원가가 조금 더 캘타스에게 집중할 수 있는 여유를 줄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겠죠.



 가즈로  머키   해머 상사  아즈모단  아바투르

여기서 짚고 넘어가겠습니다만 이 영웅들도 잘하면 다 좋습니다.
가즈로도 미리 미리 포탑 설치해놓고 준비하고 머키, 해머상사나 아즈모단들도 눈치껏 한타하러 오던가 건물 부실수 있으면 건물을 확실히 부시고 오던가 하면 좋은데 대부분 우왕좌왕 이것도 못하고 저것도 못하고 아바투르도 그냥 아무 생각없이 아군한테 공생체 붙어서 스킬 난사하다가 아군 다 죽으면 그때가서 흉물로 라인 밀러가서 허무하게 죽는 등의 모습들이 너무 일상다반사입니다.






적군 상성 좋은 영웅

요한나가  천벌의 검 (R)을 찍는다고 해도 그렇게 위협적이지 못합니다.


아서스는 모두 아시다시피 뚜벅이 전사의 대표적인 영웅입니다. 그나마 이거  신드라고사 소환 (R) 제대로 맞으면 좀 위협적일수도 있긴 하겠습니다만 제대로 맞아도 대부분 캘타스가 최후방에 있는 경우가 많아서 앞에서 적들 가까이서 맞는게 아닌 이상 큰 위협은 역시 안됩니다.



머키는 계속 와서 복어 (W)  던지고 던지고 죽으면 알에서 부활해서 또 오고 계속 그러는데요. 그래봐야 캘타스 입장에서는 초반 라인전에서 마나가 후달리는거 외엔 라인전 상대하기 쉽구요.나중에  문어발 휘감기 (R) 가 위협적이긴 합니다만 중후반에 캘타스가 앞으로 나서는 일은 없을 것이고 측면이나 후방에서 머키가 갑자기 온다고 해봐야 결국 걸어서 옵니다. 이속이 좀 빨라지는 스킬과 무적 스킬이 있기야 하지만 결국 뚜벅이 영웅이죠.




해머 상사의 장점중의 하나인 공성 모드 (E)를 쉽게 무력화 시키는 영웅이 바로 캘타스입니다. 캘타스로 불기둥 맞추기 쉬운 영웅 중에 하나입니다. 




타이커스가 오딘 출격 (R)을 가는 경우 해머 상사 급으로 맞추기 쉬운 영웅입니다. 물론 좀 한다 하는 타이커스들이 보는 앞에서 변신하진 않지만요. 그래도 오딘으로 변한 타이커스는 불기둥 맞추기 쉬운 영웅입니다.





적군 상성 나쁜 영웅

노바가 잘해도 아군 지원가하시는 분이 잘하면 상관이 없는데 현실은 그게 아닌지라 노바나 제라툴이나 힘든 이유가 아군 탱커나 힐러 하시는 분들이 상대가 좀 밀린다 싶으면 앞쪽으로 가서 쭉쭉 싸우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럴때 노바나 제라툴이 뒤에서 혼자된 캘타스 따먹기가 너무 용이하기 때문이죠. 노바한테 먼저 평타  마비 사격 (W)   저격 (Q) 맞으면 거의 죽는다고 봐야되고 간신히 살았다고 해도 캘타스가 할 수 있는 일은 그저 중력 붕괴 (E)맞추고 아군 쪽으로 도망치는 것 밖엔 할게 없어요.





제라툴은 노바보다 더하면 더했지 진짜 짜증나죠. 노바의 저격 (Q) 처럼 크게 빗나갈 일도 없으면서 초반부터  가르기 (Q)  특이점 폭발 (W) 의 딜이 상당합니다. 




도살자의  무자비한 돌진 (E)  화로 구이 (R)  도살장의 어린 양 (R) 스킬들만 봐도 캘타스 입장에서 그냥 짜증납니다. 게다가  무자비한 돌진 (E) 는 저지불가 스킬이라 일단 달려오는걸  중력 붕괴 (E)로 못 막는 것 부터가 가장 큰 문제입니다. 어린 양이나 슬로우 등에 걸릴 경우 지원가 분이 도살자에게 CC넣어주고 캘타스는 정화로 푸는 등의 빠른 커버가 된다면 좋겠습니다.




일리단은 하향이 되었어도 여전히 짜증나고 습격 (Q)  휩쓸기 (W) 같은 스킬들 때문에  중력 붕괴 (E)를 맞추기 쉽지 않은 영웅입니다. 게다가 잘하기까지 하는 일리단이라면 더더욱 피곤하고 힘들죠. 




티리엘 요즘은  축성 (R) 찍는 티리엘들도 많지만 역시 캘타스 입장에서 위협적인 것은  심판 (R)에 이은 상대방의 점사로 죽는 것이죠. 캘타스가 20레벨에  폭풍의 번개 생기기 전까지는 우서가  천상의 보호막 (R)으로 살리거나   정화로 스턴을 풀거나 하는 경우가 아닌 이상 왠만해서는 살기가 힘듭니다. 

특성 및 기술

(1)

마나 중독자 - 캘타스가 초반에 딜이 안 나오는 것은 스킬 데미지 자체의 문제보다 마나의 부족해서 스킬을 자주 못 쓰기 때문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초반부터 교전이 잦은 맵이라도 마나 중독자를 가는 편입니다.

마의 기운 - 초반 라인전 단계를 넘어가면 거의 쓸모가 없어지는 특성입니다. 새로운 맵인 영원의 전쟁터서도 초반에나 조금 유용한 정도라고 보시면 될 정도의 특성입니다.

마력의 소용돌이 - 패치가 되서 뭔가 바뀌지 않는 한 찍을 일이 영영 없을 것 같은 특성입니다.

대류 - 꿈과 같은 특성입니다. 마나 부족만 없다면 아마 무조건 가야할 특성일거라 생각합니다.

(3)

마나추출 - 1레벨 마나 중독자면 됩니다.

황천의 바람 - 위력 축적과 함께 있어서 아쉬운 특성입니다. 상대가 물어대는 영웅들이 너무 많아서 위력 축적 쌓기가 부담된다 싶으시면 추천드립니다.

위력 축적 - 16레벨 전 13레벨부터 뻗치는 화염 특성만으로도 상당한 데미지를 내기 시작하는 원동력이며 이후 16레벨부터 제대로 화력을 뿜어내는 특성입니다.

독살 - 독살 사거리 짧습니다. 독살 넣으려다가 캘타스가 죽습니다. 생존기가 없는 캘타스가 굳이 위험을 감수하고 갈 특성이 아닙니다.

(1)

핵분열 폭탄

D W W 연계가 이제부터는 부족한 데미지가 조금 커버되는 7레벨 구간입니다.

(1)

불사조 - 장단점이 있는데 저는 10판에 9판을 불사조를 갑니다. 쿨타임 짧고 데미지 소소하지만 계속 처맞기엔 부담될 정도로 준수하고 건물도 잘 부십니다.

불덩이 작렬 - 캘타스로 이거 갈 정도면 그 판은 아군이 엄청 흥해서 질 수가 없는 상태일 겁니다. 대부분은 2초 동안 불덩이 시전하게 두지 않죠.

(1)

뻗치는 화염

위력 축적 쌓으시고 무난하게 여기까지 오셨으면 16레벨까지도 무난하게 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1)

작열

현재 히어로즈 오브 스톰이란 게임에서 캘타스 존재의 이유입니다.

(4)

폭풍의 번개

드디어 캘타스에게 생존기 하나 생겼습니다. 게임이 너무 유리하다면 환생이라던가 신비의 마법 강화등도 찍어봄직하지만 결국 양쪽이 20레벨 넘어가는 시점을 생각해보면 이 특성 말고는 다른 특성을 생각할 수가 없군요.

  • 불기둥(Q)
    마나: 70
    재사용 대기시간: 7초
    1초 후, 대상 지역에 359의 피해를 줍니다.

    신록의 구슬을 사용하면 반경이 50% 증가합니다.
  • 살아있는 폭탄(W)
    마나: 50
    재사용 대기시간: 10초
    3초에 걸쳐 적에게 131의 피해를 준 다음 폭발하여 주위 모든 적에게 224의 피해를 줍니다. 다른 영웅이 폭발에 적중당하면 살아있는 폭탄이 확산되지만, 2회 연속 확산되지는 않습니다.

    신록의 구슬을 사용하면 마나를 소모하지 않고, 재사용 대기시간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 중력 붕괴(E)
    마나: 90
    재사용 대기시간: 14초
    처음 적중한 적을 1초 동안 기절시킵니다.

    신록의 구슬을 사용하면 중력 붕괴가 처음 적중한 3명의 적을 기절시키고 기절 지속 시간이 50% 증가합니다.
  • 불사조(R)
    마나: 80
    재사용 대기시간: 60초
    대상 지역으로 불사조를 날려 경로에 있는 적들에게 81의 피해를 줍니다. 불사조는 7초 동안 전장에 머무르며 적들을 공격해 81의 피해와 41%의 방사 피해를 줍니다.
  • 신록의 구슬(D)
    사용하면 다음 일반 기술이 강화됩니다.
  • 일반 공격(A)
    영웅의 무기를 사용한 공격입니다.

추가 설명


기본 플레이
캘타스 일단 어느 전장에서나 마찬가지지만 중앙 라인에서 라인전을 하고 계시다가 탑이나 바텀에서 지원이 필요한 경우 빠르게 가서 라인 클리어를 돕는다던가 하는 식으로 플레이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기본 콤보는 E Q D W W 지만 초반부터 1:1 라인전 빡빡하게 해봐야 마나 소모가 큰 캘타스만 손해이므로 상대가 근접 영웅이면 적당히 D W W 나 넣어주시면서 간만 보면 되겠습니다. 상대가 원거리면 거리 두고 그냥 Q로 견제하다가 상대가 앞으로 나온다던가 상대가 각을 내줬을때나 D W W 간간히 넣어주시던가 하면서요.




초반 운영
기본 플레이 내용대로 라인클리어 후 아군 전사나 아군 암살자들이 위나 아래 갱킹을 가는 경우 같이 따라가주세요. 갔다가 시간 버릴 것 같고 다시 라인 웨이브가 오고 있다 하면 다시 라인으로 가시구요. 캘타스로 하면서 중요한 것은 초반부터 게임이 터져버리다시피해서 나중에 캘타스가 16레벨을 찍어도 상대는 20레벨 넘어가 있고 우리 건물은 본진 하나 정도 남아버린 그런 경우가 생기지 않도록 상대와 아군의 레벨차와 건물차가 크게 나지 않고 비슷하게 끌고 나가며 밀린다고 하더라도 1~3레벨선에서 더 벌어지지 않는 것이 키포인트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4레벨 이상 벌어지기 시작하면 큰 계기가 없는 이상 역전하기 쉽지 않은 점을 주의하시고 아무튼 그렇게 초반을 버티고 7레벨에 핵분열 폭탄 (W)을 찍고나면 라인 클리어가 한결 더 수월해지기 시작합니다. 




궁극기 습득 후
불사조 (R) 는 공성을 목적으로 상대의 건물을 부수거나 반대로 아군 포탑을 끼고 수성을 목적으로 쓴다거나 전투에 있어서는 적의 한타 진형 붕괴를 유도하고, 한타에서 진 경우, 쫓기는 아군을 보호하며 퇴각하기 위한 퇴로 확보의 목적으로 쓸 수도 있으며 우두머리 같은 용병을 빠르게 가져갈때 쓰이기도 하는 정말 그 쓰임새가 무궁무진한 궁극기로 중력 붕괴 (E)나  불기둥 (Q)만 잘 맞추는 것이 아닌 불사조를 잘 쓰는 것 또한 캘타스 하수와 고수를 가르는 중요한 스킬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궁극기를 찍은 10레벨 이후 13레벨에  뻗치는 화염 (Q)을 찍으셨다면 4레벨에  위력 축적 특성과 함께 16레벨 작열 특성 전이지만 신록의 구슬 (고유 능력)   불기둥 (Q) 으로 상대에게 충분히 압박을 넣을 수 있는 시점이 되었습니다.



20레벨 이후
폭풍의 번개

생존기가 없는 캘타스가 드디어 소중한 생존기를 얻게 되었습니다만 상대도 20레벨 혹은 20레벨 이상이라면 여전히 쉽지 않습니다. 상대도 폭풍의 번개를 찍는 영웅들이 분명 있으니까요. 상대하기 어려운 일리단, 도살자 같은 영웅들도 역시나 암살자라 다들 찍을 수 있으며 더 좋은 특성들이 있어서 안 찍는 영웅들이 몇몇 있긴 하지만 암살자로 분류된 대부분 주요 딜러들은 다들 찍을 수 있으므로 상대편 특성을 확인하시고 긴장을 늦추시면 안되겠습니다.



전장 특화 추가 정보




전장전적 55%~59% 승률의 전장

저주받은 골짜기
용의 둥지
거미 여왕의 무덤
하늘 사원

50%~ 52% 승률의 전장

블랙하트 항만
공포의 정원 
죽음의 광산 
영원의 전쟁터

제가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캘타스로 지고 있는 게임도 역전의 가능성이 있는 전장이 아래 3개 전장입니다.


저주받은 골짜기

전장의 크기가 넓고 공물도 1개가 아니라 3개를 먹어야 저주에 걸리는 점과 우두머리가 오는 것도 결국 나중에는 막을 수 있는 요소들이라는 점이 주요합니다. 하늘 사원의 레이저, 죽음의 광산의 계속해서 접근해서 결국 본채 앞에서 일어나는 골렘, 블랙하트 항만의 포탄, 공포의 정원의 정원의 공포, 영원의 전쟁터 맵의 불멸자에 비해 저주에 걸려도 나중엔 라인 클리어 능력들이 좋아지기 때문에 저주 걸린 상태로 쌍우두가 오는 정도가 아닌 이상 저주만 걸고 라인을 밀러 온다거나 우두만 먹고 밀러 온다거나 정도의 운영등은 다 막아낼 수 있습니다. 



거미여왕의 무덤

상대방 거미만 주구장창 막다가도 역전이 아주 잘 나오는 곳입니다. 그리고 주요 포인트라면 3라인을 가진 맵이지만 미드 라인보다도 탑 라인, 즉 우두머리가 나오는 라인의 성채가 오래 살아 있어야 한다는 점이 키포인트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용의 둥지

용의 둥지가 무슨 역전이 잘 나와? 라고 반문하시는 분들도 계실겁니다. 이 전장도 상당히 초반에 게임이 끝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그러나 아래의 5개 전장에 비하면 양반입니다. 12시와 6시를 모두 먹고 용기사를 탐하려는 것 자체가 이 용의 둥지 맵에서의 욕심인데요. 모든 것을 가지려다 모든 것을 잃는다 라는 명언이 생각나는 곳입니다. 반반 싸움만 하고 있어도 결국 캘타스 있는 쪽이 유리한 곳입니다. 유일한 변수 용기사는 아래 5개 전장에 비하면 막을 수 있는 변수입니다.






역전이 힘든 전장들

블랙하트 항만
초반, 중반에 너무 털리면 16레벨 이후에 역전하려고 한타 좀 해보려고 하면 이미 포탄에 다 뽀개지고 지는 판이 허다합니다. 다만 상대가 초반, 중반 유리하게 이끌고 나가다가 금화를 많이 든 상태로 자신있게 한타했다가 역으로 우리팀에 헌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있습니다. 아무튼 이래저래 스트레스 받는 전장입니다.


공포의 정원
항만하고 비슷합니다. 씨앗 싸움에서 너무 밀리면 식물 한번 못 뽑아보고 정신없이 상대편 정원의 공포 막으러 다니다가 16레벨 전이나 16레벨 될즈음 게임이 끝나는 전장입니다.


죽음의 광산
라인이 두 군데라 초반부터 영원의 전쟁터처럼 박터지게 싸우는데 캘타스는 불기둥 몇번 날리면 마나 없습니다. 역시 16레벨 전에 거의 게임이 끝나갑니다. 캘타스로 역전을 하려면 적어도 골렘이 오는 쪽 안 쪽 성채 하나 정도는 16레벨까지는 있어줘야 역전각을 볼 수 있습니다.


영원의 전쟁터
이번에 새로 나온 전장이고 역시 죽음의 광산처럼 2라인이면서 죽음의 광산에서 골렘의 역할을 하는 불멸자 때문에 초반부터 죽음의 광산 못지 않게 싸워대는 곳이라 캘타스가 초반에 매우 힘든 곳이고 16레벨 이전에 게임이 잘 끝나는 전장입니다.



하늘 사원
사원의 레이저는 블랙하트 항만의 포탄처럼 캘타스가 25레벨이라도 어찌해볼 수 없는 것이라 초반, 중반 너무 무너져 있으면 거의 역전이 나오기 힘든 곳입니다. 



이 정도로 캘타스의 기본적인 공략을 마치겠습니다. 조금은 진지하게 등급을 올리고 싶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써보았습니다. 기타 궁금한 점들은 댓글이나 게임상에서 친추를 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다들 건승하시기 바랍니다.

이 공략을 평가해 주세요
인벤 여러분이 평가한 이 공략의 평가는?
짜임새 있는 구성이네요, 강추!투표
그리 좋은 구성이 아니네요. 비추!투표
추천 : 13 / 비추천 : 4
이 공략을 평가해주세요.

나도 한마디

코멘트(14)

러브아군 전문가 관련 견해 캐공감
특히 아바투르
답글신고
내일이오늘지금까지 잘한다고 느꼈던 아바투르 1~2번 본 것 같습니다. 신고
데쟈뷰켈타스는 16렙 이전까진 팀원빨이 좀 크죠.
물론 16렙 이전에도 켈타스가 전혀 도움이 안된다는건 아니지만
같은 마법사인 제이나나 다른 메인딜러들에 비해서
활약하기 까다롭죠.

16전까지 최대한 렙 비슷하게만 만들어가도 16부터는 켈타스 있는팀이
6~7할 정도는 유리하다고 생각될만큼 켈타스 16의 의미는 남다르죠.

근데 어차피 팀에 전문가를 배치하는 상황이라면, 초반은 전문가쪽에 3~4가서
힘을 같이 실어줘도 괜찮습니다.
어쨋던 영웅리그에서 한쪽이 제이나를 가져가면 일부맵을 제외하곤
한쪽은 켈타스를 선호하는 경우가 많아서, 켈타스 있는팀은 초반에 전투를 피하고
팀원들이 경험치파밍에 집중하는게 낫거든요.
(물론 팀간의 실력차로 인해 켈타스가 있는팀이 초반부터 팀파이트에 유리할수도 있지만)
(비슷한 실력양상이라면 제이나가 있는팀이 초반엔 힘싸움에서 유리함으로)

본공략에서 언급한 전문가의 입장에서도 사실 같이있는편이 건물철거하기에도
수월한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고, 상대편이 막으로 온다면 공략에서 언급한
혼자 따로논다는 개념자체도 없어지니깐요.
답글신고
내일이오늘어떤 영웅이나 마찬가지겠지만 아무래도 생존기가 E 빼고는 20레벨 전까지 없어서 전사와 지원가 분들의 역량에 따라 크게 롤러코스터 타는 영웅 같습니다. 게임 하다보면 아무것도 못해보고 16렙 이전에 무력하게 끝나는 게임도 많았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비슷하게만 가도 되기에 캘타스가 아군에 있다면 초반엔 무리한 한타 및 추노, 무리한 오브젝트 공략보다는 반반 싸움을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서부터는 제 경험과 제 개인적인 전문가에 대한 생각입니다. 데쟈뷰님 말이 틀렸다는 것이 아니니 오해 없기 바랍니다.

캘타스는 실바나스, 자가라, 나지보 정도 제외하고는 대부분 전문가들하고 잘 안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전문가를 끼고 게임을 중반까지 이끌어가려면 암살자 하나 정도는 더 있어줘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1전사 2암살자 1전문가 1지원가로 조합이 강제되는게 애로사항입니다.

자주 보게 되는 2전사 2암살자 1지원가에 비해서 사원, 공물, 불멸자, 금화, 씨앗, 해골, 용기사 한타에서 초반부터 싸움이 안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상대가 실력이 떨어지는 것은 논외로 하겠습니다.

그렇다고 2전사 1암살자 1전문가 1지원가면 캘타스가 제이나가 아니기 때문에 초반, 중반 두 전사분들이 열심히 해줘도 화력싸움에서 게임 시작부터 너무 밀리는데다가 주요 오브젝트 대치 및 한타 분위기에서 오지도 않는 전문가라면 2전사에 1암살자(캘타스) 1지원가 4명이서 버티고 견제하고 해야하는데 이런 구도는 상대 실력이 아군보다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경우가 아니고서는 성립이 되지 않는 것이 문제입니다.

그리고 초반에 전문가 쪽에 데자뷰님 말처럼 힘을 실어주러 가면 싫어하는 분들이 더 많은 것도 문제라면 문제입니다. 본인이 있는 라인에 와서 싸움 만들지 말고 신경끄고 라인가서 경험치 챙기라는 말들을 많이 합니다. 그리고 상대편은 위에 말한 것 중에서 공물을 예를 들면 공물 1~2개는 아니 아예 더 양보해서 먼저 한번 저주 받고 시작한다고 해도 그 다음 번 저주 공물은 막아야하는데 바텀에서 있다가 탑에 공물이 생기는데 나머지 4명이 바텀에 있는 전문가 쪽으로 가서 건물을 미는 것은 말도 안되는 얘기고 결국 공물을 두고 대치를 하게 됩니다. 그럼 대치하는 동안 바텀에 있는 아군 전문가 영웅이 바텀 건물들을 밀면 이득 아니냐 하실텐데 2전사 2암살자 1지원가 조합 쪽에서 1암살자가 바텀을 막으러 갔다고 예를 들면 상대는 암살자 한명이 바텀으로 빠져도 탑 쪽에서는 2전사 1암살자 1지원가 VS 저희 편은 2전사 1암살자(캘타스) 1지원가 저희와 똑같은 구성으로 버티고 있습니다. 그럼 똑같은 조합이면 한타를 해보면 되지 않겠냐고 하시겠지만 분명 상대편 암살자가 제이나, 도살자, 발라, 타이커스 기타 등등이라고 치면 싸움이 거의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치하다보면 마나조루인데다가 생존기도 없는 캘타스가 할 수 있는 일이 많지가 않습니다. 이런 식으로 초반, 중반 오브젝트 싸움이 전혀 성립이 안되고 이러다가 물려서 한타가 일어나고 몰살을 당하거나 하면 이럴때 아군 전문가 분들이 나머지 4명에게 많이 투덜대는 경우 또한 많았습니다. 왜 한타를 하냐? 왜 물리냐? 맵 리딩이 안되냐? 등등 흔하고 질리도록 들었던 말들입니다.

결정적으로 말씀하신 것처럼 전문가 분에게 힘을 실어준다는 그런 것 자체가 나머지 4명이 그 전문가에게 맞춰서 하는 경우가 솔큐에서 적어도 제가 지금까지 하면서 거의 없었고 오히려 팀내 분열에 일조하는 경우가 더 많았습니다. 그리고 상대편이 막으러 오면 좋은데 위에 말한 것처럼 암살자 1명이 막으러 온다던가 아니면 5명이 강제 한타를 열고 계속해서 스노우 볼을 굴리면 전문가분이 열심히 공성 한 것보다 더 많은 공성피해를 받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공물 뺏기고 쌍우두머리 뺏기고 사원 레이저에 녹고 항만 포탄에 터지고 공포에 휩쓸리고 골렘한테 두들겨 맞는 것들 게임하다보면 시작부터 오브젝트 다 뺏기고 싸움자체가 안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초반 판 짜기가 중요한 보드 게임인 장기로 예를 들면 초반부터 포, 차 내주고 체스로 예를 들면 퀸과 룩을 내주고 시작하는 것과 다를바 없습니다.

이상이 제가 캘타스와 대부분 전문가 영웅들의 궁합이 좋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입니다.
신고
데쟈뷰전문가와 합이 맞다고 이야기 한건 아니었어요 ㅋ
팀에 전문가가 어쩔수 없이 있는 상황이라면, 무리하게 4명이서
팀파이트 하는것보단, 전문가쪽에 힘을 실어주면서 대치상황으로
만들어가는것도 좋다는 말이죠.

어차피 전문가는 개념없는 트롤이 많다는걸 깔고드가면 어떤상황이라도
안좋아 보여요.. 합이 좋고 나쁘고 떠나서 전문가 한타에서 암살자 보다
크게 전투력이 떨어지는것도 아니라서요.

예를들어 사원의 경우 2사원 이상 활성화시
1사원식 가져가고 전문가가 있는쪽이 훨씬 이득보는 경우가 많아요.
사원하나 활성화 시킨다고 성채가 날라가진 않는데
이 사원활성화동안에 견재가 없거나 견재하기 힘든위치에서 테러하면
성채하나 날리는게 가능하니깐요.
견재하기 힘든 위치라는건
초반사원에 위아래로 활성화 되면, 위에사원 먹고 윗라인에서 테러하면
사원이 뺏으로가기도 테러막으로 가기도 힘들거든요.
결국 상대입장에서 가장 좋은방법은 사원에 한명식 남겨두고
전문가가 테러하는쪽 방어하러 가야되는데 이러면 대치상황이 되어서
라인이 밀려있는 대치상황에서는 전문가가 있는쪽이 유리하니깐요.

용의둥지 역시..
꼭 용기사 활성화 안시켜도 신전 한쪽만 방어하면서 테러로
돌리는게 더 유리한 경우가 많아요.

광산은 뭐 말할것도 없이.. 1전문가가 자주 등장하는 맵이고

공물맵 역시
아즈모단이나 가즈로 나지보 같은케릭들은 공물참여만 해준다면
대치상황이 길어질수록 유리하게 만들어주거든요.
아주모단같은 경우는 꼭 본인이 테러를 안하더라도
승급으로.. 라인계속 밀어줄수 있어서 공물맵에서 공물 대치상황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상대보다 유리하게 만들수 있어요.

어쩌다보니 전문가를 대변하는 댓글이 되었는데...
아무튼 켈타스가 전문가와 합이 맞고 안맞고를 말하려는게 아니라;
전문가가 팀에 있는경우는 초반에 켈타스있는팀으로 4명이서 한타유도 하느니
전문가쪽에 힘을 실어줘서 레벨 마추는것도 좋다고 말하는거였어요.

요는 어쨋던 켈타스가 있는팀에서 초반에 조합상 팀파이트가 많이 힘들것 같다면
무리하게 팀파이트 해서 레벨차 내는니, 적당한 운영으로 레벨따라가면
16부터는 괜찮은 전투를 만들수 있다는거죠 뭐 ㅋㅋ
답글신고
내일이오늘맞습니다. 암살자한테 전투력이 밀리는 것도 아닌데 답답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특히 마지막에 말하신

"켈타스가 전문가와 합이 맞고 안맞고를 말하려는게 아니라;
전문가가 팀에 있는경우는 초반에 켈타스있는팀으로 4명이서 한타유도 하느니
전문가쪽에 힘을 실어줘서 레벨 마추는것도 좋다고 말하는거였어요."

이 부분은 조합을 떠나서 게임 초반 캘타스 입장에서 바라는 이상적인 팀원들의 모습이죠. 지극히 공감되는 말입니다.

아무튼 이미 많이 알려진 기본적인 캘타스 공략을 읽어주시고 견해를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신고
대청함일단 추천드립니다. 현 메타에서 4렙특성 황천바람 or 위력 축적 말고는 이견은 크게 없는 것 같습니다. 20렙전 탈출기가 전무한 상황에서 상대 진영에 날 녹일만한 영웅이 많고 한타 CC 및 따돌리는 용도로 황천바람을 찍느냐 아님 잘안죽을 자신 있고 우리편에 지켜줄 탱이나 지원가가 있냐에 따라서 갈릴듯 16렙이후엔 켈타스만 살려도 교전시 승리할 확률이 크니까요 답글신고
내일이오늘대청함님. 추천 감사합니다.

대청함님 말씀대로 4레벨에 황천의 바람이냐 위력 축적이냐는 아군 전사와 지원가의 존재유무와 역량의 문제입니다.

뻔한 특성 트리의 아쉬운 점에 대해 사족을 달자면 처음 캘타스 출시되고 살아있는 폭탄(W) 2중첩 가능하던 시기엔 볼 것도 없이 4레벨 위력축적에 13레벨에 뻗치는 화염 대신에 연쇄폭탄을 찍었는데요.

이유가 16레벨 가기도 전부터 상대 전사나 암살자에게 물려 죽더라도 죽이고 죽을 정도로 딜이 엄청났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패치가 되고 패치에 따라서 특성 트리가 이번엔 뻗치는 화염으로 고정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을 보면 그저 아쉬울 뿐입니다.
신고
비정규작업제목 그대로 요즘 캘타스 기본 공략이네요 . 그래도 경험을 바탕으로 하신 영리 솔큐 팁 같은건 좋네요. 특히 1픽의 꼴픽 영웅 목록하고 남탓하는 사람들 멘트 개공감... 답글신고
내일이오늘네. 기본 공략입니다. 새로운 뭔가를 기대하셨으면 실망하셨겠네요. 남탓의 경우는 그냥 무시하고 채팅도 안 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말 섞는 순간 미친개처럼 물고 늘어져서 안 싸울래야 안 싸울 수가 없더군요. 신고
나이스게임공략 잘 봤습니다. 그런데 궁금한 점이 있는데 솔큐 돌리다가 만약에 상대가 캘타스, 우서를 다 가져가면 어떤 영웅을 픽해야 좋을지... 답글신고
내일이오늘암살자를 하게 될 경우 제이나, 제라툴, 노바

전사를 하게 되면 티리엘

지원가를 하게 되면 레가르, 말퓨리온

정도가 적절할 것 같습니다.
신고
나이스게임답글 감사합니다. 그레이브즈님 공략보고 캘타스 연습 중인데 개인적으로 평소에 하던 제이나보다 D누르는게 상당히 적응이 안되네요. ^^;;

추천해주신 제라툴, 노바는 못해서 그냥 평소에 하던 제이나나 계속 하고 티리엘, 레가르, 말퓨리온은 제가 전혀 안 해본 영웅들이라 구매를 하면 어떤 순으로 사는게 좋을지...

마지막으로 솔큐 돌리다보니 확실히 왜 8개 이상 다루라는지 알겠어요. 제가 평소에 하는 영웅들이 제이나, 리리, 무라딘, 우서, 발라 5개 정도인데 난감할때가 많더라구요. 빠대야 5개만으로도 즐길 수 있었는데 영리는 거의 매판마다 우리팀, 상대팀 1~3픽에서 리리 빼고는 거의 다 가져가더라는...
답글신고
내일이오늘d는 하시다보면 되실꺼고 주로 하시는 영웅만 써놓으셔서 무슨 영웅을 가지고 계신진 모르겠지만 리리 있으시다니 티리엘, 레가르 먼저 사시면 되겠네요 신고
이전 1 다음

명칭: 주식회사 인벤 | 등록번호: 경기 아51514 |
등록연월일: 2009. 12. 14 | 제호: 인벤(INVEN)

발행인: 박규상 | 편집인: 강민우 |
발행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9번길 3-4 한국빌딩 3층

발행연월일: 2004 11. 11 |
전화번호: 02 - 6393 - 7700 | E-mail: help@inven.co.kr

인벤의 콘텐츠 및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므로,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Inven.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 신문 위원회 배너

2023.08.26 ~ 2026.08.25

인벤 온라인서비스 운영

(웹진, 커뮤니티, 마켓인벤)